원산지 : 상품설명 / 상세정보 참조
방문 수령 | 1. 결제 전 <방문 수령>으로 체크 2. <방문하실 날짜 기입> 필수 3. 매장 방문 <평일 09:00 - 17:00> 매장 주소 :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 304번길 26 부천혜림직업재활시설 032) 611-7994 |
판매자 | 더:로스터틀 |
포장 타입 | 200g 크라프트 봉투 / 500g 지퍼스탠딩 |
용량 | 200g / 500g |
알레 르기 정보 | 밀 · 우유 · 계란 · 함유대두 · 호두 · 돼지고기 · 토마토를 사용하는 제품과 같은 제조시설에서 제조 |
◈ 직접 수령을 원하시는 경우, 결제 전에 [택배 ∨] 옵션을 [방문 수령 ∨]으로 변경하시면 배송비가 청구되지 않습니다.
◈ 직접(방문) 수령은 생산 일정에 따라 수령일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따로 연락 드립니다.)
◈ 신용카드 영수증은 KG이니시스를 통해 구매자의 이메일로 전송됩니다. 이메일에서 [KG이니시스 결제확인]을 확인해 주세요..
◈ 학교 교직원이나 관공서에서 거래 내역서가 필요하신 경우, 주문 시 [배송 메모]란에 요청사항을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케린치 애너러빅 허니 G1
지역: KERINCI
농장: KOERINTKI BARIKAH BERSAMA
가공방식: ANAEROBIC HONEY
품종: ANDUNG SARI
커핑노트: 라임/바닐라/카카오/호박꿀
<All New 커피인사이드 : 인도네시아>
화산 활동이 활발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인도네시아는 수마트라, 자바, 술라웨시, 칼리만탄(Kalimantan, 보르네오), 파푸아(Papua) 등 18,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많은 섬 중에서 수마트라와 자바에 활동이 활발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커피 재배도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인도네시아의 커피 재배는 네덜란드에의해 1696년 자바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수마트라와 발리(Bali), 술라웨시 등으로 재배가 확산되었지만 1876년 발생한 커피녹병으로 인해 아라비카는 거의 멸종되다시피 하여 해발 1,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만 아라비카가 살아남았다. 인도네시아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1900년 아프리카 콩고로부터 커피녹병에 강한 로부스타를 가져와 재배를 시작하였고 이런 이유로 지금도 인도네시아의 아라비카 생산은 소량에 불과하다. ① 재배/가공/품종 소규모 농가에서 95%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으며 섬마다 기후 조건이 달라 가공 방식이 다양하다. 최근에는 아라비카 생산량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
수확기(월) | 수마트라: 10-3, 자바: 5-9, 술라웨시: 5-11 | ||
생산량(만백) | 1,210('20/21) | 건조 | 햇볕 건조 |
가공 | 세미 웨트, 워시드 가공, 내추럴 가공 | ||
품종 | 아라비카(15%) - 카투라, 카티모르, 티모르, S-288, S-795, 티피카 등 로부스타(85%) |
② 재배 지역
수마트라는 인도네시아 커피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으며 아라비카 커피는 섬 북쪽에서 생산된다. 가요마운틴/아체 가요(Gayo Mountain, Aceh Gayo) 커피는 북쪽 수마트라에 있는 아체(Aceh) 주의 산악 지대에서 생산되는데 셰이딩을 하며 워시드 가공으로 생산된다. 린통(Lintong)은 토바 호수의 남서쪽 린통니후타(Lintongnihuta) 지역에서 생산된다. 인도네시아 커피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만델링(Mandheling)은 지명이 아닌 토바 호수 근처의 린통, 시디카랑(Sidikalang)의 고지대에서 생산되는 커피의 상표명인데 만다이일링(Mandailing)이라는 부족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자바의 아라비카 커피 재배는 동쪽 끝에 있는 해발 1,400m의 이젠(Ijen) 고원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내추럴 가공을 하며 다른 인도네시아 지역에 비해 품질 관리가 잘되고 있는 편이다. 술라웨시에서 생산되는 토라자(Toraja) 커피는 타나토라자(Tana Toraja)라 불리는 술라웨시 남쪽의 고원 지대에서 생산된다. 칼로시(Kalosi)는 토라자 남쪽에 위치하며 스페셜티 커피 산지로 잘 알려져 있다. ③ 커피 특성 만델링(린통)은 강한 바디와 단맛, 약한 신맛, 스파이시, 초콜릿의 특성이 있으며 가요 마운틴은 부드러운 신맛과 캐러멜, 바닐라, 풍부한 바디를 느낄 수 있다. 칼로시는 초콜릿과 가벼운 감귤류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
④ 분류
결점두에 의한 분류를 한다.
등급 | 기준 | 등급 | 기준 |
Grade 1 | 11 | Grade 4b | 61-80 |
Grade 2 | 12-25 | Grade 5 | 81-150 |
Grade 3 | 26-44 | Grade 6 | 151-225 |
Grade 4a | 45-60 | ||
- 로부스타 커피만 4a와 4b로 나눔 |
더 로스터틀 커피 로스터스는 자연환경을 지키는데
힘을 보태기 위해 최대한 비닐 포장을 지양합니다.
따라서 50g / 100g /200g 원두 포장은
크라프트지 봉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품에 이상 발생 시 교환 및 환불이 가능합니다.
문의 전화
더로스터틀 032)611-7994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케린치 애너러빅 허니 G1
지역: KERINCI
농장: KOERINTKI BARIKAH BERSAMA
가공방식: ANAEROBIC HONEY
품종: ANDUNG SARI
커핑노트: 라임/바닐라/카카오/호박꿀
<All New 커피인사이드 : 인도네시아>
화산 활동이 활발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인도네시아는 수마트라, 자바, 술라웨시, 칼리만탄(Kalimantan, 보르네오), 파푸아(Papua) 등 18,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많은 섬 중에서 수마트라와 자바에 활동이 활발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커피 재배도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인도네시아의 커피 재배는 네덜란드에의해 1696년 자바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수마트라와 발리(Bali), 술라웨시 등으로 재배가 확산되었지만 1876년 발생한 커피녹병으로 인해 아라비카는 거의 멸종되다시피 하여 해발 1,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만 아라비카가 살아남았다. 인도네시아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1900년 아프리카 콩고로부터 커피녹병에 강한 로부스타를 가져와 재배를 시작하였고 이런 이유로 지금도 인도네시아의 아라비카 생산은 소량에 불과하다. ① 재배/가공/품종 소규모 농가에서 95%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으며 섬마다 기후 조건이 달라 가공 방식이 다양하다. 최근에는 아라비카 생산량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
수확기(월) | 수마트라: 10-3, 자바: 5-9, 술라웨시: 5-11 | ||
생산량(만백) | 1,210('20/21) | 건조 | 햇볕 건조 |
가공 | 세미 웨트, 워시드 가공, 내추럴 가공 | ||
품종 | 아라비카(15%) - 카투라, 카티모르, 티모르, S-288, S-795, 티피카 등 로부스타(85%) |
② 재배 지역
수마트라는 인도네시아 커피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으며 아라비카 커피는 섬 북쪽에서 생산된다. 가요마운틴/아체 가요(Gayo Mountain, Aceh Gayo) 커피는 북쪽 수마트라에 있는 아체(Aceh) 주의 산악 지대에서 생산되는데 셰이딩을 하며 워시드 가공으로 생산된다. 린통(Lintong)은 토바 호수의 남서쪽 린통니후타(Lintongnihuta) 지역에서 생산된다. 인도네시아 커피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만델링(Mandheling)은 지명이 아닌 토바 호수 근처의 린통, 시디카랑(Sidikalang)의 고지대에서 생산되는 커피의 상표명인데 만다이일링(Mandailing)이라는 부족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자바의 아라비카 커피 재배는 동쪽 끝에 있는 해발 1,400m의 이젠(Ijen) 고원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내추럴 가공을 하며 다른 인도네시아 지역에 비해 품질 관리가 잘되고 있는 편이다. 술라웨시에서 생산되는 토라자(Toraja) 커피는 타나토라자(Tana Toraja)라 불리는 술라웨시 남쪽의 고원 지대에서 생산된다. 칼로시(Kalosi)는 토라자 남쪽에 위치하며 스페셜티 커피 산지로 잘 알려져 있다. ③ 커피 특성 만델링(린통)은 강한 바디와 단맛, 약한 신맛, 스파이시, 초콜릿의 특성이 있으며 가요 마운틴은 부드러운 신맛과 캐러멜, 바닐라, 풍부한 바디를 느낄 수 있다. 칼로시는 초콜릿과 가벼운 감귤류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
④ 분류
결점두에 의한 분류를 한다.
등급 | 기준 | 등급 | 기준 |
Grade 1 | 11 | Grade 4b | 61-80 |
Grade 2 | 12-25 | Grade 5 | 81-150 |
Grade 3 | 26-44 | Grade 6 | 151-225 |
Grade 4a | 45-60 | ||
- 로부스타 커피만 4a와 4b로 나눔 |
더 로스터틀 커피 로스터스는 자연환경을 지키는데
힘을 보태기 위해 최대한 비닐 포장을 지양합니다.
따라서 50g / 100g /200g 원두 포장은
크라프트지 봉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품에 이상 발생 시 교환 및 환불이 가능합니다.
문의 전화
더로스터틀 032)611-7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