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 : 상품설명 / 상세정보 참조
방문 수령 | 1. 결제 전 <방문 수령>으로 체크 2. <방문하실 날짜 기입> 필수 3. 매장 방문 <평일 09:00 - 17:00> 매장 주소 :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 304번길 26 부천혜림직업재활시설 032) 611-7994 |
판매자 | 더:로스터틀 |
포장 타입 | 200g 크라프트 봉투 / 500g 지퍼스탠딩 |
용량 | 200g / 500g |
알레 르기 정보 | 밀 · 우유 · 계란 · 함유대두 · 호두 · 돼지고기 · 토마토를 사용하는 제품과 같은 제조시설에서 제조 |
◈ 직접 수령을 원하시는 경우, 결제 전에 [택배 ∨] 옵션을 [방문 수령 ∨]으로 변경하시면 배송비가 청구되지 않습니다.
◈ 직접(방문) 수령은 생산 일정에 따라 수령일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따로 연락 드립니다.)
◈ 신용카드 영수증은 KG이니시스를 통해 구매자의 이메일로 전송됩니다. 이메일에서 [KG이니시스 결제확인]을 확인해 주세요..
◈ 학교 교직원이나 관공서에서 거래 내역서가 필요하신 경우, 주문 시 [배송 메모]란에 요청사항을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에티오피아 루무다모 G1 내추럴
<아프리카 스페셜티 커피를 선정하는
"Taste of Harvest" 대회 2위>
지역: 시다마 아르베고나
농장: 루무다모 워싱스테이션
가공방식: 내추럴
품종: 74112
커핑노트: 복숭아, 블루베리, 와인, 살구, 홍차
<잘 익은 천도 복숭아의 상큼한 과즙향 ·
와인의 깊고 부드러운 풍미 · 청량감>
<All New 커피인사이드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는 커피가 처음 발견된 카파 지역이 있는 커피의 고향인 만큼 커피를 마시는 습관은 에티오피아의 오랜 전통이자 문화이며 커피 생산량의 약 절반 정도를 자국에서 소비한다. 에티오피아는 여러 개의 높은 산맥들이 열대 우림 지대를 이루고 있어 커피 재배에 적정한 고도, 기온, 비옥한 토양, 충분한 강수량 등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커피 산업 직간접 관련 종사자 수가 약 천오백만 명에 이르고 커피가 최대 수출 품목으로 총 수출액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어 커피 산업이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에티오피아 커피는 다른 커피에서 찾아보기 힘든 특유의 향과 독특한 플레이버로 인해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커피를 거래할 때는 농장과의 직거래가 금지되어 있어 2008년 설립된 에티오피아상품거래소(Ethiopian Commodities Exchange, ECX)를 통한 공개 입찰 방식으로만 거래된다. |
① 재배/가공/품종
커피 재배는 전체 커피 생산의 약 95%가 숲속에서 야생상태로 자라는 커피나무에서 수확하거나 농가 소유의 땅 근처에 커피나무를 심어 수확하는 형태로 일반적인 커피 생산 국가와 사뭇 다르다. |
수확기(월) | 10-3 | 생산량(만백) | 738('20/21) |
가공 | 내추럴 가공(70-80%), 워시드 가공(20-30%) | ||
품종 | 아라비카 - 에티오피아 고유 품종 |
② 재배 지역
에티오피아는 동아프리카지구대(Great Rift Valley)가 국토를 관통한다. 커피 재배는 이 지구대 양쪽의 해발 1,5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이루어지며 대부분 남부 지역이다. 이가체페(Yirgacheffe)는 에티오피아의 대표적인 커피를 생산하는 곳으로 시다모(Sidamo) 북부에 있는 작은 지역이다. 재배는 비옥한 토양의 1,700-2,000m의 구릉지에서 이루어지며 대부분 워시드 커피를 생산하나 일부 내추럴 커피도 생산한다. 이가체페의 북동부 지역에서 코케(Koke)가, 남부 지역에서 코체르(Kochere)가 생산된다. 시다모는 에티오피아의 가장 남쪽 지역으로 커피는 해발 1,5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재배된다. 북부지역의 하라(Harrar)는 대부분 햇볕 건조를 통한 내추럴 커피를 생산하며 커피는 크기에 따라 롱베리(Long berry)와 숏베리(Short berry)로 나뉜다. 리무(Limu)는 에티오피아 해발 1,100-1,900m의 남쪽 오로미아(Oromia) 지역에 위치하고 워시드 커피만 생산한다. 짐마(Djimmah)는 리무 남쪽 지역으로 에티오피아에서 내추럴 커피 생산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
③ 커피 특성
뛰어난 과일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베리향을 일반적으로
느낄 수 있으며 그 밖에 감귤과 초콜릿향도 가지고 있다.
더 로스터틀 커피로스터스는 자연환경을 지키는데 힘을
보태기 위해 최대한 비닐 포장을 지양합니다.
따라서 50g / 100g /200g 원두 포장은
크라프트지 봉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품에 이상 발생 시 교환 및 환불이 가능합니다.
문의 전화
더로스터틀 032)611-7994
에티오피아 루무다모 G1 내추럴
<아프리카 스페셜티 커피를 선정하는
"Taste of Harvest" 대회 2위>
지역: 시다마 아르베고나
농장: 루무다모 워싱스테이션
가공방식: 내추럴
품종: 74112
커핑노트: 복숭아, 블루베리, 와인, 살구, 홍차
<잘 익은 천도 복숭아의 상큼한 과즙향 ·
와인의 깊고 부드러운 풍미 · 청량감>
<All New 커피인사이드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는 커피가 처음 발견된 카파 지역이 있는 커피의 고향인 만큼 커피를 마시는 습관은 에티오피아의 오랜 전통이자 문화이며 커피 생산량의 약 절반 정도를 자국에서 소비한다. 에티오피아는 여러 개의 높은 산맥들이 열대 우림 지대를 이루고 있어 커피 재배에 적정한 고도, 기온, 비옥한 토양, 충분한 강수량 등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커피 산업 직간접 관련 종사자 수가 약 천오백만 명에 이르고 커피가 최대 수출 품목으로 총 수출액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어 커피 산업이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에티오피아 커피는 다른 커피에서 찾아보기 힘든 특유의 향과 독특한 플레이버로 인해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커피를 거래할 때는 농장과의 직거래가 금지되어 있어 2008년 설립된 에티오피아상품거래소(Ethiopian Commodities Exchange, ECX)를 통한 공개 입찰 방식으로만 거래된다. |
① 재배/가공/품종
커피 재배는 전체 커피 생산의 약 95%가 숲속에서 야생상태로 자라는 커피나무에서 수확하거나 농가 소유의 땅 근처에 커피나무를 심어 수확하는 형태로 일반적인 커피 생산 국가와 사뭇 다르다. |
수확기(월) | 10-3 | 생산량(만백) | 738('20/21) |
가공 | 내추럴 가공(70-80%), 워시드 가공(20-30%) | ||
품종 | 아라비카 - 에티오피아 고유 품종 |
② 재배 지역
에티오피아는 동아프리카지구대(Great Rift Valley)가 국토를 관통한다. 커피 재배는 이 지구대 양쪽의 해발 1,5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이루어지며 대부분 남부 지역이다. 이가체페(Yirgacheffe)는 에티오피아의 대표적인 커피를 생산하는 곳으로 시다모(Sidamo) 북부에 있는 작은 지역이다. 재배는 비옥한 토양의 1,700-2,000m의 구릉지에서 이루어지며 대부분 워시드 커피를 생산하나 일부 내추럴 커피도 생산한다. 이가체페의 북동부 지역에서 코케(Koke)가, 남부 지역에서 코체르(Kochere)가 생산된다. 시다모는 에티오피아의 가장 남쪽 지역으로 커피는 해발 1,5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재배된다. 북부지역의 하라(Harrar)는 대부분 햇볕 건조를 통한 내추럴 커피를 생산하며 커피는 크기에 따라 롱베리(Long berry)와 숏베리(Short berry)로 나뉜다. 리무(Limu)는 에티오피아 해발 1,100-1,900m의 남쪽 오로미아(Oromia) 지역에 위치하고 워시드 커피만 생산한다. 짐마(Djimmah)는 리무 남쪽 지역으로 에티오피아에서 내추럴 커피 생산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
③ 커피 특성
뛰어난 과일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베리향을 일반적으로
느낄 수 있으며 그 밖에 감귤과 초콜릿향도 가지고 있다.
더 로스터틀 커피로스터스는 자연환경을 지키는데 힘을
보태기 위해 최대한 비닐 포장을 지양합니다.
따라서 50g / 100g /200g 원두 포장은
크라프트지 봉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품에 이상 발생 시 교환 및 환불이 가능합니다.
문의 전화
더로스터틀 032)611-7994